-
우분투 하드디스크 마운트 하기각종 사용법 2022. 1. 29. 16:11
우분투 환경에서 8T 하드디스크 마운트 하는 법 입니다.
다시 켜도 자동으로 마운트 될 수 있도록 하는 세팅을 포함합니다.
연구실 서버에서 보통 1T ssd, 8T hdd를 사용한다고 가정하고, 8T hdd를 마운트 하는 법을 기술합니다.
(윈도우와 달리 sata선만 꼽는다고 사용가능 x)
현재 상태는 hdd에 sata선, 전원선 다 꼽혀 있고 마운트만 안된 상태라고 가정합니다.
참고로, 2T이하/이상 하드디스크 마운트 하는 법이 각각 다릅니다.
2T 이하 마운트 : https://psychoria.tistory.com/521
1.하드 인식하기
#fdisk -l
(쓸 수 있는 하드 보기 -> sda라는 하드 인식 확인)
2. 파티션 만들기
#parted /dev/sda
(Parted상태가 될거임, 아래 명령어 추가로 입력)#mklabel gpt
#unit TB
#mkpart primary 0.00TB 8.00TB
#quit
이후 다시 fdisk -l 쳐보면 /dev/sda1이 추가로 생성되어있을것임
3. 파일시스템 통일하기
#cat /etc/fstab를 쓰면, dump 자리에 ext4 확인가능, 이게 파일 시스템.
이제 sda1을 ext4형태로 맞추어줍니다.
#mkfs.ext4 /dev/sda1
그리고, 마운트할 폴더를 생성해줍니다.
(본인의 경우 최상위 폴더에서 /mnt/hdd를 생성.. #mkdir /mnt/hdd)마운트.
#mount -t ext4 /dev/sda1 /mnt/hdd
(여기까지 하면 마운트는 됩니다. 근데 껏다키면 마운트 풀리니, 4번 과정이 필요합니다.)
4. 재부팅시 항상 마운트 되도록
(etc/fstab에 한 줄 추가하면 됩니다)
#vi /etc/fstab
이후 맨 아랫줄에
UUID = [uuid값] /mnt/mydata1 ext4 defaults 0 0
(uuid 값 확인은 #ls -l /dev/disk/by-uuid 로 할 수 있음)
5. 마운트 쓰기 권한 확장
이렇게 세팅하면, root만 hdd에 쓰기 가능
#sudo chown -R dongkyun:dongkyun /mnt/hdd (dongkyun 대신 ssh 사용자 계정명 입력)
#sudo chmod 755 /mnt/hdd
이러면 완료입니다.
추가로, 도커 쓰시면서 hdd에 접근하고 싶으면, -v에 인자로 하드디스크 마운트 폴더 위치를 추가로 입력하시면 됩니다.
예시 : sudo docker run -it --gpus '"device=2"' -v /home/dongkyun/workspace:/workspace/notou -v /LGDdataset:/workspace notou/sg2ada /bin/bash
'각종 사용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각종 명령어 (2) 2022.02.09 우분투에서 구글드라이브 파일 받는 쉘 스크립트 만들기 (0) 2022.02.09 parser로 폴더 만들어주기 (0) 2022.02.07 torchvision dataset 에서 own dataset 을 쓰는법 (1) 2022.02.05 도커 사용법 (17) 2021.12.18